기록/FEConf
-
2022년 B4 감상문기록/FEConf 2023. 2. 9. 17:04
B4 내 import 문이 그렇게 이상했나요? 팀 : toss 발표자님 : 박서진 발표의 전체적인 내용 개발을 하면서 ‘더 좋은 코드 작성법이 없을까?’, ‘더 나은 라이브러리 사용법은 없을까?’ 것은 의심을 해본적은 있지만, ‘내가 import문을 제대로 사용하고 있나?’에 대한 질문을 해본적은 없는 것 같습니다. 그렇기에 무엇을 설명하는 발표인지 궁금했고, 들어본 결과 약간의 충격?도 받은 것 같습니다. 한 번쯤은 마주쳤던 오류들 개발을 하면서 한 번쯤은 봤을 법한 ERR_REQUIRE_ESM이나 Unexpected token import와 같은 오류들의 근본적인 원인에 대해 알 수 있었습니다. 지금까지 우리가 외부 패키지나 다른 js파일의 모듈을 가져올 때 사용했던 import를 잘 못 사용했기 때..
-
2022년 A2 감상문기록/FEConf 2023. 2. 6. 15:20
A2 라이브러리 개발기@webtoon/psd 팀 : 네이버 웹툰 발표자님: 이동현, 강예형 발표의 전체적인 내용 이번 발표는 webtoon 팀에서 포토샵 파일인 .psd나 psb 파일을 웹 상에서 metadata나 실제 이미지를 미리보기 형식으로 보고 싶어 실제로 이 라이브러리를 구현했던 과정을 공유해주셨습니다. 발표는 두 파트로 나눠서 진행됐습니다. 첫 번째 파트는 실제 포토샵 파일을 읽고 데이터를 파싱하는 방법에 대한 과정을 공유해주셨고, 두 번째 파트는 성능개선을 중점으로 발표를 진행해 주셨습니다. 들으면서 들었던 생각 저번 스터디 때 필자도 toastify 라이브러리를 제작해볼 계획이었는데 어찌저찌 흐지부지 됐던 경험이 있어서 집중해서 들어본 것 같습니다. 저번 인턴 지원에 실패했던 당근도 이런 ..
-
2022년 B5 감상문기록/FEConf 2022. 12. 30. 11:34
상태관리 이 전쟁을 끝내러 왔다 팀: 메가테라 발표자님: 최수형 한 줄 소감 발표 내용과 별개로 발표를 라이브코딩으로 진행했다는 점과 TDD를 빠르게 보여주신 점이 굉장히 멋있다는 생각이 들었고, 이전부터 헷깔렸단 store와 model간의 관계에 대해 조금 짚어주신 것 같아 좋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저번에 올렸던 최수형님의 발표인 2020년 A5보다 먼저 작성된 글입니다. (포스팅은 더 늦게 했습니다..😅) 발표 내용 발표 제목만 보고 상태관리에 대한 내용인 줄 알았지만, 실제 내용은 전체적인 UI 코드와 비즈니스 로직의 분리 방법에 대한 내용이었습니다. 거대한 컴포넌트 어찌할 것인가? 개발을 하다보면 불어난 컴포넌트의 크기를 감당하지 못하고 로직 자체가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컴포넌트의 크기가 커지..
-
2020년 A5 감상문기록/FEConf 2022. 12. 21. 09:20
A5 프론트엔드에서 TDD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드립니다. 팀: Microprotect 발표자: 최수형 한 줄 소감 TDD 도입이 시급하다... 이번 포스팅은 발표에 대한 내용보다는 필자가 TDD에 대한 생각 변화에 더 중점을 둔 것 같다. 발표 자체가 라이브코딩으로 진행되다 보니 발표에 대한 글보다는 발표를 보면서 느꼈던 점들, 알게된 점들을 더 작성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번 발표를 보게 된 이유 2020년도 발표를 다시 찾아보면서까지 들은 이유는 발표자이신 최수형님의 2022년 발표 ‘상태관리 이 전쟁을 끝내러 왔다’라는 발표가 너무 멋있었고 요즘들어 TDD가 개발에 필요한 요소중에 하나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었다. 부스트캠프를 할 때부터 TDD, ‘테스트 코드 작성하세..
-
2021년 A1 감상문기록/FEConf 2022. 12. 16. 11:29
A1 Do more with less - 디자인 시스템 그 다음은? 팀: toss 발표자님: 이병철 발표의 전체적인 내용 통합적인 ui 개발에 필요한 디자인 협업 과정을 소개하는 내용이었습니다. 개발자와 디자이너 협업에서의 문제점 원래의 개발 과정은 디자이너들이 페이지의 디자인을 개발자에게 넘겨주면, 개발자들이 디자인을 보고 이미 개발되었던 컴포넌트를 찾고 재사용가능한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하고 재사용을 하거나 새로운 컴포넌트를 개발하는 형식의 개발 프로세스가 진행됐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렇게 됨으로써 같은 컴포넌트라 할지라도 새로 개발되는 경우가 많게 되었습니다.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디자인의 통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개발 속도 또한 느려지게 됐습니다. 디자인 시스템 도입 이를 해결하기 위해 디자인의..
-
2022년 A4 감상문기록/FEConf 2022. 12. 6. 16:18
A4 텍스트 에디터? 그게 뭘 만드는 건데? 팀: NAVER SmartEditor 발표자님: 노용구 내가 이 발표를 가장 먼저 들은 이유 이전 제품 개발 중, 필요했던 기능 중에 하나였던 editor에 대한 발표라 먼저 들어보았습니다. 발표의 주된 내용 editor라 하면 당연하게 여겨지는 커서의 움직임이나, 복사 붙여넣기, 이미지와 글을 블록단위로 처리하는 등의 기능들을 개발 및 발전시키면서 있었던 이슈들을 확인할 수 있어 좋았습니다. Editor라면 있는 커서 그거 기본으로 주어지는 거 아닌가?.. 입력창이라면 가지고 있어야하는 커서는 가상 커서로 구현하고 있다고 합니다. 커서의 움직임을 svg로 위치를 선정해주고, css animation을 통해 깜빡거림을 표현해준다고 합니다. (현재 ide들은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