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버네티스
-
Ingress를 이용한 쿠버네티스 연결 기본 실습인프라 2022. 12. 16. 10:48
이번 포스팅은 쿠버네티스로 각 컴포넌트(frontend, backend)를 연결해본 과정에 대해 작성해보려고 한다. ※ 실습은 ubuntu 20.04 버전 on-premise 서버에서 진행했습니다. 목차 1. ingress 생성 yaml 파일 및 설명 2. ingress controller 생성 3. NodePort 생성 4. 요청 받을 deployment와 svc를 생성 5. 연결 확인 6. 알게된 점 1. ingress 생성 # ingress-example.yaml apiVersion: networking.k8s.io/v1beta1 kind: Ingress metadata: name: ingress-example annotations: nginx.ingress.kubernetes.io/rewrite-..
-
쿠버네티스 시작인프라 2022. 12. 12. 09:21
쿠버네티스 실행 방법 kubectl이라는 명령어로 쿠버네티스를 사용할 수 있다. YAML파일을 통해 컨테이너 리소스를 생성 및 삭제할 수 있다. (더 많이 쓰이는 방법) 쿠버네티스의 컴포넌트 마스터 노드에서 API 서버(kube-apiserver), 컨트롤러 매니저(kube-controller-manager), 스케줄러(kube-scheduler), DNS서버(coreDNS) 등이 실행되고, 모든 노드에서는 오버레이 네트워크 구성을 위해 프락시와 네트워크 플러그인이 실행된다. kubelet이라는 에이전트가 모든 노드에서 실행된다. kubelet은 컨테이너의 생성, 삭제뿐만 아니라 마스터와 워커 노드 간의 통신 역할을 함께 담당한다. → 아직까지는 ‘kubelet이라는 에이전트가 모든 노드에서 기본적으로 ..